성장기 어린이 ‘뼈 나이’ 검사, 키 예측 정확도는?(예상키알아보기, 성장판검사,골연령검사,예상키측정방법)
일명 '뼈 나이 검사'라고 불리는 골연령 검사는 성장기 아이라면 한 번쯤 해보는 검사다.
아이의 성장속도가 너무 빠르거나 늦진 않은지, 성인이 된 다음 최종 키는 얼마나 될지 등을 확인하기 위해선 뼈 나이 검사가 필수처럼 여겨진다. 누구나 한 번은 하는 검사라지만 뼈 나이 검사가 꼭 필요한지, 최종 키 예측 정확도는 얼마나 되는지 알아보자.
뼈 성숙도 확인하는 골연령 검사
골연령 검사는 뼈의 성숙상태를 알아보는 것으로, 뼈의 끝 부분에 있는 연골판의 상태를 평가하는 검사이다.
연골판은 성장판으로도 불리기 때문에 골연령 검사는 ‘성장판검사’라고도 불린다. 성장판은 세포가 분열하면서 뼈의 성장이 일어나는 곳으로, 골연령 검사는 이 성장판의 상태를 종합적으로 평가하는 검사다.
실제 나이와 뼈 나이 1~6개월 차이 있어… 질환 확인에 도움
골연령 검사는 아이의 성장발달을 확인하는 데 유용한 검사로 판별됐다.
한국보건의료연구원(NECA)은 2023년 의료기술재평가 보고서를 통해 골연령 검사는 소아 성장장애와 관련한 질환의 경과 관찰, 치료에 대한 반응을 관찰하는 데 활용할 수 있다는 의견을 제시했다.
실제로 골연령 검사와 역연령(생활 연령)과의 차이는 여러 성장장애와 관련된 소아 질환의 진단에 사용된다. 골연령이 역연령에 비해 더 높은 대표적 질환으로는 성조숙증이 있다. 골연령이 역연령보다 낮은 경우 사춘기 지연, 성장호르몬 결핍증, 갑상선 호르몬 결핍증 등을 의심해 볼 수 있다.
보고서에 따르면, 골연령 검사를 이용해 확인한 뼈 나이와 역연령의 차이는 평균적으로 1~6개월 정도였다. 2~10세까지 1세 정도 과소평가, 15세는 과대평가의 경향이 확인됐고, 여성에서는 4~5세에서 1세 정도 과소평가, 13세에서 과대평가가 되는 경향이 확인됐다.
너무 어릴 때 한 뼈 나이 검사, 정확도 떨어져
골연령 검사를 통해 예측한 최종 키 예측도는 아주 높다고 보기 어려웠다. 골연령 검사를 활용한 성인 키 예측검사는 최종 성인 키와의 차이가 연령별, 성별로 다양하게 나타났다.
대체로 8세에서 15세 사이에서 평균적으로 약 3cm 정도 과대 혹은 과소 평가됐고, 최대 8~10cm 정도 차이를 보였다.
특히 연령이 낮을수록 예측된 성인 키와 최종 성인 키 간 차이가 크게 나타났다. 연령이 높아질수록 그 차이가 작아지는 경향이 확인됐다.
소위원회에서는 "체질성 성장지연이나 사춘기지연 대상자의 경우, 골연령이 역연령보다 낮기 때문에 성인 키 예측검사와 최종 성인 키 간 차이가 더 크게 나올 수 있으며, 고신장이나 성숙이 빠른 사람들은 이미 골 성숙이 되어 있어서 차이가 작게 나올 수 있다"는 의견을 밝혔다.
다만, 포함된 연구 대상자의 인종과 특성이 다양하고, 한국인 대상 연구 수가 적어서 골연령 검사를 통한 성인 키 예측의 정확성을 판단하기에는 문헌적 근거가 부족하다는 평가를 덧붙였다.
출처 : https://naver.me/5QGwt7Tl
부모의 키로 내 아이 예상키 측정하는 계산법에 대해 알아봤다.
일종에 유전에 의한 선천적인 영향으로 아이 예상키를 측정하는 방법이다.
성장과정에서 키는 선천적인 요인도 중요하지만, 후천적인 요인도 중요하니 영양분섭취, 운동, 수면시간등 많은 노력으로 개선될수 있으니 노력해보자.
그럼 아이 예상키 계산하는 방법과 키 성장에 좋은 요인, 나쁜 요인들을 알아보자!
< 내 아이 예상키 계산하는 방법 >
1. 남자 아이 예상키 = ( 아빠 키 + 엄마 키 ) ÷ 2 + 6.5
2. 여자 아이 예상키 = ( 아빠 키 + 엄마 키 ) ÷ 2 - 6.5
예를 들어 아빠키 183, 엄마키 165이라고 가정할때 위 공식대로 한다면
아들은 아빠키와 엄마키의 합인 348, 나누기 2를 하면 174, 플러스 6.5를 하면 → 180.5가 선천적인 요인으로 인한 예상키다.
딸 역시 마찬가지로 아빠키 엄마키 합인 348에서 나누기 2를 하면 174, 끝으로 마이너스 6.5를 하면 → 167.5가 딸 예상키다.
-> 우리 지수도 성조숙증 의심된다고 해서 x-ray,피검사,복부초음파 다했는데 아니라고 했다.
그리고 알려준게 지수 예상최종키 였는데..
그게 (166 +-5) 였다.
위에 계산방법으로는 167.5나오네..
위에 계산방법 했을경우 실망할수도 있고 괜찮을 수도 있을 것이다. 이건 어디까지나 예측이므로 걱정하지말고
우리아이의 균형잡힌 식단, 운동 등 다양한 방법을 통해서 좀더 개선하면 키가 클수 있다.
** 키 성장에 도움이 되는 요인들 **
1. 균형잡힌 영양소가 풍부한 식단
5대 영양소인 탄수화물, 단백질, 비타민, 무기질, 지방을 잘 섭취해줘야 한다. 다만 많이 먹어서 체중이 늘게되면 그 살들이 키로 가는건 아니므로, 비만은 조심!!
2. 규칙적인 운동
달리기, 자전거, 수영 등 유산소운동을 규칙적으로 하면 뼈가 튼튼해지고 키가 크는데 도움이 된다.
3. 충분한 숙면
성장호르몬은 깊은 숙면에 빠질때 많이 분비된다. 하루 8시간 정도는 푹 자는게 좋다.
(성조숙증 진단, 성조숙증 보험적용나이, 성조숙증 예방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