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 와 개념 알기-!!

2025. 3. 5. 10:47각종 정보 모음


1. 거시경제 (Macroeconomics)

•  GDP (국내총생산): 일정 기간 동안 한 나라에서 생산된 모든 최종 재화와 서비스의 총가치.
•  GNP (국민총생산): GDP에 해외에서 벌어들인 소득을 더한 값.
•  물가상승률 (Inflation Rate): 물가가 일정 기간 동안 상승하는 비율.
•  디플레이션 (Deflation): 물가가 지속적으로 하락하는 현상.
•  금리 (Interest Rate): 돈을 빌리거나 맡길 때 적용되는 이자율.
•  환율 (Exchange Rate): 자국 화폐와 외국 화폐 간 교환 비율.
•  통화정책 (Monetary Policy): 중앙은행이 금리, 통화량 조절 등을 통해 경제를 조정하는 정책.
•  재정정책 (Fiscal Policy): 정부가 세금, 지출 등을 조정하여 경제를 조절하는 정책.
•  경기순환 (Business Cycle): 경제가 호황, 후퇴, 불황, 회복을 반복하는 과정.


2. 미시경제 (Microeconomics)

•  수요와 공급 (Supply and Demand): 재화나 서비스의 가격을 결정하는 핵심 개념.
•  탄력성 (Elasticity): 가격 변화에 따른 수요·공급의 반응 정도.
•  기회비용 (Opportunity Cost): 어떤 선택을 했을 때 포기해야 하는 가치.
•  한계효용 (Marginal Utility): 추가적인 소비가 가져오는 만족도의 변화.
•  시장구조 (Market Structure): 완전경쟁, 독점, 과점 등의 시장 형태.
•  게임이론 (Game Theory): 경쟁 상황에서 최적의 전략을 찾는 이론.
•  정보비대칭 (Asymmetric Information): 시장에서 한쪽이 더 많은 정보를 가지고 있는 상황.
•  외부효과 (Externality): 거래 당사자가 아닌 제3자에게 영향을 미치는 경제 활동.


3. 금융 & 투자 (Finance & Investment)

•  주식 (Stock): 기업의 소유권을 나타내는 증권.
•  채권 (Bond): 정부나 기업이 돈을 빌릴 때 발행하는 증서.
•  펀드 (Fund): 투자자들의 돈을 모아 운용하는 금융 상품.
•  ETF (상장지수펀드): 특정 지수를 추종하는 투자 상품.
•  IPO (기업공개): 비상장 기업이 처음으로 주식을 공개하여 상장하는 과정.
•  리스크 (Risk): 투자에서 발생할 수 있는 불확실성.
•  헤지 (Hedge): 위험을 줄이기 위한 투자 전략.
•  배당 (Dividend): 기업이 이익을 주주에게 분배하는 것.
•  P/E 비율 (PER, Price-to-Earnings Ratio): 주가를 주당순이익(EPS)으로 나눈 값으로, 기업의 가치 평가 지표.


4.국제경제&무역 (International Economics & Trade)

•  무역수지 (Trade Balance): 수출액과 수입액의 차이.
• FTA (자유무역협정, Free Trade Agreement): 국가 간 무역 장벽을 낮추는 협정.
•  관세 (Tariff): 수입품에 부과하는 세금.
•  무역장벽 (Trade Barrier): 수입을 제한하는 정책 (관세, 쿼터제 등).
•  환율전쟁 (Currency War): 국가들이 경쟁적으로 자국 통화를 평가절하하는 현상.
• IMF (국제통화기금, International Monetary Fund): 국제 금융 안정을 지원하는 기관.
• WTO (세계무역기구, World Trade Organization): 국제 무역 규범을 정하고 조정하는 기관.


5.정부&경제정책 (Government & Economic Policy)

•  최저임금 (Minimum Wage): 법적으로 정해진 최저 급여 수준.
•  조세 (Taxation): 정부가 부과하는 세금 (소득세, 법인세, 부가가치세 등).
•  재정적자 (Fiscal Deficit): 정부 지출이 세수보다 많은 상태.
•  공공재 (Public Goods): 비경쟁적, 비배제적인 재화 (도로, 국방 등).
•  사회보장제도 (Social Security System): 연금, 건강보험, 실업보험 등 정부의 복지 정책.
•  정부부채 (Government Debt): 정부가 빌린 돈의 총액.


6.  최신 경제 트렌드

•  디지털 화폐 (Digital Currency): 중앙은행이 발행하는 디지털 형태의 화폐 (CBDC 등).
•  가상화폐 (Cryptocurrency): 비트코인, 이더리움 같은 블록체인 기반 화폐.
• 핀테크 (Fintech): 금융(Finance)과 기술(Technology)의 결합.
•  공유경제 (Sharing Economy): 자원을 공유하는 경제 모델 (에어비앤비, 우버 등).
• ESG 투자 (ESG Investing): 환경(Environment), 사회(Social), 지배구조(Governance)를 고려한 투자 방식.
•  메타버스 경제 (Metaverse Economy): 가상세계에서 경제활동이 이루어지는 환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