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 5. 26. 14:30ㆍ각종 정보 모음

⸻
평발이란?
평발(편평족, Flatfoot)은 발바닥의 아치(arch), 즉 안쪽 종아치가 무너져서 발바닥 전체가 지면에 닿는 상태를 말합니다. 일반적으로 아이들은 생후 몇 년 동안 평발처럼 보일 수 있지만, 성장하면서 정상적인 아치가 형성됩니다. 하지만 일부는 성인이 되어서도 아치가 형성되지 않거나, 후천적으로 무너지는 경우도 있습니다.
⸻
평발의 종류
1. 유연성 평발(Flexible flatfoot)
– 발을 들었을 때는 아치가 보이지만, 체중을 실으면 아치가 사라짐
– 대부분의 소아 및 청소년 평발이 여기에 해당
– 증상이 없는 경우 치료 불필요
2. 강직성 평발(Rigid flatfoot)
– 체중이 실리지 않아도 아치가 형성되지 않음
– 통증이 동반되거나 보행에 문제가 생기기 쉬움
– 선천성 이상(예: 골유합), 외상, 류마티스 등 원인 다양
3. 후천성 평발(성인 획득성 평발, Adult acquired flatfoot)
– 후경골건 기능부전(Posterior tibial tendon dysfunction, PTTD)이 대표 원인
– 중년 이후에 발 안쪽 통증과 함께 점차 아치가 무너짐
⸻
증상
• 발 안쪽 또는 발뒤꿈치 안쪽의 통증
• 발목 안쪽 불편감 또는 부기
• 오래 걷거나 서 있으면 피로감
• 신발 안쪽 밑창이 유난히 많이 닳는 경우
• 심한 경우 무릎, 고관절, 허리까지 통증 유발 가능
⸻
진단
• 문진 및 신체검사: 발의 모양, 아치 유무, 발뒤꿈치의 정렬 확인
• 족압 검사: 체중 부하 시 발에 가해지는 압력 분석
• X-ray: 뼈의 정렬 및 아치 각도 측정
• MRI: 후경골건이나 주변 구조물의 손상 확인 시 사용
⸻
치료
1. 비수술적 치료
● 생활습관 및 교정
• 체중 감량
• 충격 흡수가 좋은 신발 착용
• 아치 지지용 기능성 깔창(족부 보조기, orthosis) 사용
• 장시간 서 있는 활동 줄이기
● 약물치료
• 통증이 있을 경우 소염진통제(NSAIDs) 단기간 사용
● 물리치료 및 운동요법
• 아래 운동 참고
2. 수술적 치료
비수술적 치료에 반응하지 않거나 변형이 심한 경우 고려됩니다.
대표적 수술은 다음과 같습니다:
• 후경골건 재건술
• 발 정렬 교정 절골술
• 관절 유합술 (관절 손상이 동반된 경우)
• 연부 조직 이완 또는 건 이식술
⸻
도움이 되는 운동법
아래는 환자에게 일상적으로 추천할 수 있는 평발 운동입니다.
통증 없는 범위에서 하루 1-2회, 10-15회 반복을 권장합니다.
1. 타올 끌기 운동 (Towel curl)
방법:
의자에 앉은 상태에서 바닥에 수건을 놓고 발가락으로 수건을 끌어당깁니다.
→ 발바닥 근육과 아치 형성에 도움

2. 발가락 벌리기 (Toe spreading)
방법:
발가락을 최대한 벌리고 다시 모으는 동작 반복
→ 내재근 강화, 후경골건 보조
3. 카프 레이즈 (Calf raise)
방법:
발끝으로 천천히 올라갔다가 내려오기
→ 후경골건 및 종아리 근육 강화

4. 벽 짚고 뒤꿈치 들기
방법:
양손으로 벽을 짚고 선 상태에서 천천히 뒤꿈치를 들어 올리기
→ 아치 안정화에 효과
5. 발바닥 마사지
방법:
폼롤러나 골프공 등을 이용해 발바닥을 롤링
→ 근막 이완 및 통증 감소
⸻
마무리
평발 자체는 반드시 병적인 상태는 아닙니다. 증상이 없고 기능에 문제가 없다면 치료 없이도 일상생활이 가능합니다. 하지만 통증, 피로감, 보행 이상이 있는 경우에는 적극적인 치료가 필요합니다. 특히 성인 후천성 평발은 진행성인 경우가 많아 조기 진단과 관리가 중요합니다.
'각종 정보 모음' 카테고리의 다른 글
케이뱅크 금리인하요구권 신청 조건 (1) | 2025.05.21 |
---|---|
고려대 수학경시대회 상반기 중학교1,2학년 기출문제 (0) | 2025.05.21 |
초등학교 1학년 학부모 상담, 무엇을 준비하고 어떤 질문을 해야 할까? (1) | 2025.05.20 |
정맥순환개선제 ‘센시아’ (1) | 2025.05.17 |
말린푸룬(건자두) 좋은점 및 먹는방법 (2) | 2025.05.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