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봄철 이사 시즌, 전세 계약 시 꼭 알아둘 팁 🌸

2025. 3. 16. 15:00각종 정보 모음




봄은 새 출발을 꿈꾸며 이사를 계획하시는 분들이 많은 시기입니다. 특히 전세 계약을 고려 중이시라면, 안전하고 만족스러운 거래를 위해 몇 가지 꼭 확인해야 할 사항들이 있습니다. 🧐




1. 안심전세앱부터 깔기 🤳

정부가 전세사기를 예방하기 위해 별도로 만든 ‘안심전세앱’부터 깔고 시작하면 좋습니다. 전세 계약 전후 확인해야 할 체크리스트는 물론, 해당 집의 시세와 집주인에 대한 정보까지 한 번에 싹 알아볼 수 있기 때문입니다.
  

-> 안심전세앱 바로가기



2. 등기부등본 확인 📄

가장 먼저 해야 할 일은 해당 부동산의 등기부등본을 확인하는 것입니다. 이를 통해 소유자 정보, 근저당권, 가압류 등 권리 관계를 파악할 수 있습니다. 특히, 선순위 근저당이 있는 경우 전세금 반환에 어려움이 있을 수 있으므로 주의해야 합니다.  


3. 임대인 신분 확인 🕵️‍♂


계약 상대방이 실제 소유자인지 확인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임대인의 신분증과 등기부등본 상의 소유자가 일치하는지 확인하고, 대리인이 계약을 진행할 경우 위임장과 대리인의 신분증도 함께 체크해야 합니다.  


4. 전세보증금반환보증 가입 가능 여부 확인 🛡️

전세보증금반환보증에 가입할 수 있는 주택인지 확인하는 것이 필수입니다. 이는 임대인이 보증금을 반환하지 않을 경우를 대비한 안전장치입니다. 해당 보증 상품은 주택도시보증공사 지사 및 모바일 플랫폼(네이버부동산, 카카오페이, 토스 등)에서도 신청 가능합니다.

-> 주택도시보증공사 바로가기


5. 주택 상태 및 주변 환경 점검 🏠


계약 전 주택의 내부 상태를 꼼꼼히 살펴보세요. 누수, 곰팡이, 벽지 손상 등 하자가 없는지 확인해야 합니다. 또한, 주변 교통, 상권, 소음 등 생활 편의성도 고려해야 합니다.  


6. 세금 안 낸 건 없는지 확인하기 💸


집주인이 세금을 계속 안 내서 집이 경매 등으로 팔릴 경우에도 보증금을 돌려받기가 어려워집니다. 이럴경우 안 낸 세금이 있는지는, 집주인의 동의를 구하고 관할 세무서에 방문해 ‘미납국세 열람 신청’을 하면 확인할 수 있습니다.


7. 건축물대장 확인하기 🏠

‘건축물대장’을 떼서 위반건축물 딱지가 붙지는 않았는지, 혹시 주택이 아니라 ‘근린생활시설’은 아닌지도 살펴봐야합니다. 이러면 전세 대출을 받을 수 없는 데다, 위에서 말한 전세보증보험도 들 수 없는 집이기때문에 확인이 필수입니다.


8. 계약서 특약사항 명시 ✍️


계약서에는 기본적인 내용 외에도 임대인과 임차인 사이에 합의된 내용을 명확히 기재해야 합니다. 예를 들어, “임대인은 계약 기간 동안 임차인의 동의 없이 집을 매도하지 않는다.” 등의 특약사항을 추가하여 추후 발생할 수 있는 분쟁을 예방할 수 있습니다.  


9. 전입신고 및 확정일자 받기 🗓️


계약 후에는 빠른 시일 내에 전입신고를 하고 확정일자를 받아야 합니다. 이는 임차인의 권리를 보호하고, 보증금을 안전하게 지키는 데 필수적입니다.  


10. 이사 시기 고려하기 📆


이사 성수기인 경우에는 이사 비용이 비쌀수 있으므로, 가능하다면 비성수기를 선택하여 비용을 절약하는 것도 좋은 방법입니다.  

->2025년 손없는날 확인



이러한 사항들을 꼼꼼히 확인하셔서 안전하고 만족스러운 전세 계약을 체결하시길 바랍니다. 행복한 새로운 보금자리에서 즐거운 봄 맞이하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