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 4. 21. 22:46ㆍ건강


벌써 날씨가 덥다. 이른 더위가 찾아온 탓이다. 밤에는 모기까지 기승을 부린다. 모기는 일본뇌염, 말라리아, 뎅기열 등 다양한 감염병 매개체다. 특히 말라리아는 해외보다 국내 발생이 더 많다.
질병관리청의 '말라리아 환자 발생 현황'을 보면 국내 발생이 501명(2018년) 인 반면 해외 유입은 75명뿐이다.
발생빈도 역시 매년 늘고 있다. 주로 경기, 인천, 서울, 강원에서 발생한다. 더워지기 시작하는 4월부터 10월 사이에 집중된다. 말라리아가 남의 일이 아니란 얘기다.

25일은 '세계 말라리아의 날'이다. 말라리아 퇴치를 위한 국제적 협력을 모색하기 위해 만들어졌다.
"말라리아는 포유동물의 혈액에 기생하는 원충 감염에 의한 급성 발열성 질환이다. 대부분 위험 지역에 살거나 방문했을 때 말라리아 원충에 감염된 모기에 물려 감염된다. 우리나라는 삼일열 원충 감염으로 주로 생긴다.
"말라리아 원충에 감염된 모기에 물리게 되면 원충이 간에서 증식되어 혈관으로 침투해 적혈구를 파괴하게 된다. 이때 다른 모기에게 물리면 사람에서 모기로 원충이 이동하게 되고, 이 모기가 타인을 물게 되면 주변 사람을 감염시킬 수 있다.
초기 진단이 중요하다. 개인 면역상태나 감염된 원충의 종류에 따라 증상이 달라질 수 있지만, 평균 7∼30일의 잠복기 후 두통, 고열, 오한, 식욕부진, 구토 등이 나타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삼일열 말라리아에 걸리면 48시간 주기로 오한기, 고열기, 발한기가 반복적으로 나타난다. 오한기에는 체온 상승으로 심하게 춥고 몸이 떨리는 증상으로 치아가 떨려 말하기 힘들거나 글씨를 쓰기 힘든 정도의 증상이 30분에서 2시간 정도 지속할 수 있다.
우리나라엔 삼일열 말라리아 많아...오한, 고열, 발한이 반복
또 발열기에 접어들면 39도 이상의 고열과 함께 심한 두통, 구토가 수시간 지속한다. 이후에는 옷이나 침구류를 적실 정도로 심하게 땀을 흘리는 발한기가 찾아왔다가 체온이 급격하게 정상화되면서 무기력함이 나타난다.
그래서 의심 증상과 함께 ▲모기에 물린 기억 ▲유행 시기 ▲말라리아 위험지역 방문 ▲수풀, 습지, 논 등 모기 서식환경 등에 노출된 적이 있다면 빠르게 적절한 치료를 받아야 말라리아 전파를 예방할 수 있다.
모기는 기후 환경 변화에 따라 발생 시기가 매년 조금씩 달라지는데 올해의 경우 예년보다 일찍 따뜻해진 만큼 말라리아를 포함한 모기 매개 감염병에 주의할 필요가 있다. 특히 말라리아는 과거와 달리 조기 진단을 통해 충분히 치료할 수 있지만 재발 우려가 있고 면역력이 약한 경우 사망에 이를 수도 있으므로 증상이 있으면 신속히 병원을 찾아야 한다.
** 말라리아 예방법 **

말라리아는 현재 상용화된 백신이 없어 예방접종을 통한 예방이 어렵다. 따라서 국외 말라리아 위험지역으로 여행 시, 예방약 복용과 모기에 물리지 않도록 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또한, 동남아시아, 중동, 중부 아프리카, 중남미 등 말라리아 위험 지역을 여행할 때에는 항말라리아제를 복용하는 것이 좋다. 그리고 약물 내성 지역을 확인하고 임신부나 가임기 여성에서의 상황 등을 고려해서 약제를 선택해야 한다.
클로로퀸은 산모에게 사용할 수 있는 가장 안전한 약이나, 대부분의 지역에서 내성이 생길 수 있다. 출국 1주 전부터 복용을 시작하여 귀국 후 4주간 추가로 복용해야 한다.
말라론은 출발 1~2일 전, 하루에 1정 복용하기 시작하여 귀국 후 7일간 복용해야 한다.
메플로퀸은 3개월, 독시싸이클린은 1주일간 임신을 피하는 것이 좋다.
한편, 말라리아를 포함해 모기 매개 전염병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모기에 물리지 않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 야외활동 시 밝은 계열의 긴 옷을 착용해 피부 노출을 최소화하고 모기 기피제 등을 사용하도록 한다.
또 될 수 있으면 풀숲, 웅덩이 근처에는 가지 않도록 하며 해질녘부터 새벽 시간에는 외부 활동을 자제하는 것이 좋다. 가정에서는 모기가 실내로 유입되지 않도록 창문 등을 점검하고 필요하면 모기장을 활용하는 것이 좋다.
'건강' 카테고리의 다른 글
농구·줄넘기도 좋지만…키 크려면 ‘렙틴’ 잡아라! (키크는방법,규칙적인운동) (0) | 2023.04.24 |
---|---|
하루에도 몇 번씩 괜스레 울적하고 눈물이 나는데…(계절성우울증, 계절성우울증 증상,진단,치료및 예방법) (0) | 2023.04.24 |
온몸이 근질근질... 피부 가려움증 대처법은?(피부소양증 치료법, 피부소양증 원인,피부알러지) (0) | 2023.04.21 |
피부에 해로운 식품과 이로운식품, 피부노화 최소화, 피부노화 방지방법 (0) | 2023.04.21 |
과일 씻기 전 ‘꼭지’ 제거해야 하는 이유(과일세척법, 과일세척시 꼭지제거이유,딸기 세척방법) (0) | 2023.04.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