혜택은 늘고 생활은 더 편안하게~ 더 좋아지는 광명생활 “광명소식”2025

2025. 3. 24. 19:25각종 정보 모음


✅ 맘튼튼 축산물 꾸러미 10만 원 상당으로 확대
자녀 출생신고를 마친 산모에게 제공하는 국내산 축산물 꾸러미를 기존 1인당 5만 원 상당에서 올해 10만 원 상당으로 확대 지원합니다. 경기민원 24 누리집에서 신청하면 됩니다.
도시농업과 ☎ 02-2680-7906

✅ '아이조아 첫돌' 첫째 50만원, 둘째 60만원, 셋째 이상 70만원 지원
광명시는 다자녀가정 지원을 확대하기 위해 ‘아이조아 첫돌’ 축하금을 기존 모두 50만 원 에서 첫째 아이 50만 원, 둘째 60만 원, 셋 째 이상 70만 원으로 차등 지급합니다. 대상자는 2024년 출생한 아이부터 적용됩니다.
광명시 민원콜센터 ☎ 1688-3399
여성가족과 ☎ 02-2680-6778

✅ 임신 사전 건강관리 지원 확대
광명시에 사는 20~49세 남녀는 결혼이나 자녀 유무와 관계없이 임신 사전 건강관리 지원을 받을 수 있습니다. 생애 주기별로 29세 이하(1주기), 30~34세(2주기), 35~49(3주기) 등 총 3회를 받을 수 있습니다.

✅ 영구적 불임 예상 생식세포 동결보존 지원
영구적으로 불임이 예상돼 가임역 보전이 필요한 사람이 생식세포(정자·난자)를 냉동 및 초기 보관(1년)하는 비용을 남성에게는 최대 30만
원, 여성에게는 최대 200만 원 지원합니다. 올해 새로 시행하는 사업입니다.                                    
감염병관리과 ☎ 02-2680-5535

✅2자녀 가정도 자동차 취득세 감면
다자녀 양육자의 자동차 취득세 감면 제도가 기존 18세 미만 세 자녀 이상에서 두 자녀로 바뀌었습니다. 올해 1월 1일부터 두 자녀 이상 양육 차량은 취득세를 50% 감면하고, 세 자녀 이상은 취득세를 면제하되, 감면액이 200만 원을 초과할 때는 최소납부세액을 적용해 85%를 감면합니다. 또 6인승 이하 승용자동차는 세 자녀 이상의 경우 140만 원, 두 자 녀는 70만 원 한도에서 감면합니다.
차량등록사업소 ☎ 02-2680-6731


✅대학생 아르바이트를 청년 아르바이트 일자리로 확대
광명시에 사는 대학생에게 공공기관과 산하기관의 일자리를 제공하는 대 학생 아르바이트를 학력 제한 없는 청년 아르바이트로 변경해 광명시 거주 18~29세 청년에게 단기간 직무 체험형 일자리 기회를 제공합니다.
일자리창출과 ☎ 02-2680-6299

✅ 청년AI 스쿨과 청년 인턴 뉴스타트 등 맞춤형 정책 시행
청년동과 청춘곳간에서 진행하는 청년AI 스쿨과 청년 인턴 뉴스타트는 광명시 거주 미취업 청년들에게 AI 교육과 진로지도, 직무체험 기회를 제공하는 맞춤형 인재 양성 프로그램입니다.

✅ 광명시민 평생학습지원금 지급 연령, 대상 변경
[평생학습지원금? 성별에 관계없이 50대 시민에게 생애 1회 30만 원의 평생학습 이용포인트를 지급하는 제도]
공고일 기준 광명시 1년 이상 거주하는 모든 50세 시민을 대상으로 지급하던 기존과 달리, 신청일 기준 광명시 1년 이상 계속 거주·합산하여 5년 이상 광명 거주 중 한 가지를 만족하는 50대(1966~1975년생) 광명시민으로 대상의 폭을 넓혔습니다. 매년 2천500명의 대상자를 추첨해 지급하며 59세(1966년생) 시민은 최소 500명 지원을 보장합니다.
지원금은 관내 성인 대상 평생학습을 운영하는 모든 기관과 관내 서점, 관외 3천여 기관에서 사용할 수 있고, 평생학습지원금 누리집(lll.gm.go.kr)에서 다양한 교육 콘텐츠를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습니다.

✅ 치매 치료관리비 지원 대상 확대
광명시는 치매 환자와 가족의 경제적 부담을 덜고 적기에 지속적인 치료 를 받을 수 있도록 치매 치료관리비를 지원하고 있습니다. 치매 치료관리비 보험급여분 중 본인부담금(치매 약제비 본인부담금 및 약 처방 당일의 진료비 본인부담금, 비급여 항목은 제외)을 월 3만 원(연
36만 원) 안에서 실비 지원합니다. 기존에는 기준 중위소득 120% 이하만 지원했으나, 올해부터 경기도 치매 케어 패키지 사업에 따라 기준 중위소득 140% 이하로 확대 운영합니다. 치매 치료관리비 신청을 원하는 60세 이상 시민은 치매안심센터에 치매 코드가 기재된 약 처방전, 신분증, 통장 사본 등 관련 서류를 제출하면 됩니다.
치매안심센터(소하동)☎ 02-2680-5830 (광명동)☎ 02-2680-5552

✅ 희귀질환자 의료비 지원사업 확대
희귀질환자 의료비 지원사업은 지원 대상 질환을 기존 1천272개에서 1천338개로 확대해 더 많은 환자가 의료비 지원 받을 수 있도록 했습니다.

✅ 경기도 간병 SOS 프로젝트​​
광명시는 '경기도 간병 SOS 프로젝트'를 통해 저소득층 65세 이상 노 인에게 연간 최대 120만 원의 간병비를 지원합니다. 지원 대상은 광명 시에 거주하는 기초생활수급자(생계·의료급여) 및 차상위계층 가운데상해·질병 등으로 병원급 의료기관 이상에 입원해 간병 서비스를 받
은 65세 이상 노인입니다.
어르신복지과 ☎02-2680-6485

✅ 장애인 기회소득 지원 확대
장애인 기회소득 지원 확대 가치활동을 수행하는 장애인 1만 명에게 월 10만 원, 연 120만 원을 지원합니다. 이를 통해 장애인의 사회 참여 동기를 부여하고 더 나은 기회를 제공합니다.
장애인복지과 ☎ 02-2680-2244

✅ 장애인 복지강화
장애인활동지원 시간당 단가는 기존 1만 6천150원에서 1만 6천620원으로, 장애아 가족 양육지원 시간당 단가는 1만 2천140원에서 1만 4천140원으로 인상돼 더 나은 돌봄 환경을 제공합니다.

✅ 평생교육바우처 지원
19세 이상 기초생활수급자, 차상위계층, 법정한부모, 장애인 등 교육 취약계층에게 1인당 연간 35만 원의 평생교육이용권 등록기관의 수강료와 교재비를 지원합니다. 평생학습원 ☎ 02-2680-6839, 6138

✅ 장애인연금 기초급여 인상
장애인연금 기초급여는 기존 월 33만 4천810원에서 34만 2천510원으로 인상했습니다.

✅농어민 기회소득 지원
광명시에 거주하며 농어업경영체에 등록한 농어민에게 월 5~15만 원을 광 명사랑화폐로 지급합니다.
도시농업과 ☎ 02-2680-2332

✅700세대 이상 공동주택 층간소음관리위원회 의무
그동안 법적 의무가 아니었던 층간소음관리위원회 구성이 700세대 이상 공 동주택에서는 의무사항이 됐습니다.
층간소음관리위원회는 연간 4시간 이상 층간소음 예방교육을 이수하고, 층간소음 민원 청취와 사실관계 확인 업무 수행으로 층간소음 문제에 대한 자체 해결 기반을 조성해야합니다.
주택과 ☎ 02-2680-6018

✅ 침수방지시설 설치지원 확대 및 층간소음관리위원회 구성 의무화
시민 주거 안전과 생활 품질 향상을 위해 침수방지시설 설치지원을 확대하고 층간소음관리위원회 구성을 의무화했습니다. 침수방지시설 지원 한도를 단독주택 400만 원, 공동주택 1천500만 원으로 상향하고, 자부담을 전액 면제해 침수 피해 예방을 강화합니다.

✅ 기후의병 탄소중립포인트 실천 분야 19개로 확대
광명시는 광명시민의 탄소중립 실천을 적극적으로 지원하기 위해 기후의병 탄소중립포인트 제도를 개편했습니다. 지난해 5개 부문 17개로 운영됐던 실천 분야는 올해 6개 부문 19개 실천 분야로 확대하고, 광명시 소재 근로자도 가입할 수 있도록 했습니다. 올해 새로 신설된 분야는 ▲기후의병 추천하기 ▲배달음식 다회용기 이용 ▲가정용 태양광 설치 ▲친환경 자동차 신차 구입 ▲하이브리드차 구입 ▲도시가스 레인지 인덕션으로 교체 설치 ▲리필스테이션 이용 ▲시민 주말 농장(1가구 1텃밭)입니다. 이 밖에도 ▲당월 적립한 포인트는 신청하지 않아도 다음 달 10일 일괄 지급 ▲실천일 당일 포인트 신청만 인정(예외 분야 제외) ▲14세 미만 자녀 동행 실천 포인트 미지급 ▲지혜 소비 부문 내 동일 실천 1건만 인증 ▲실천 분야 별 실천 횟수 제한 등이 지난해와 달라진 점입니다. 기후의병 탄소중립포인트 는 포인트 앱 또는 광명시 탄소중립센터(netzero.gm.go.kr)를 통해 회원가입 후 신청할 수 있습니다.
탄소중립과 ☎ 02-2680-2575

✅ 고향사랑기부제 기부금 상한액 2000만 원으로 확대
개인별 고향사랑기부금의 연간 상한액이 기존 500만 원에서 2000만 원으로 확대됐습니다. 또 은행(국민·기업·농협·신한·하나)이나 당근마켓, 체리, 액티부키 등 민간 플랫폼을 통해서도 기부할 수 있게 됐습니다.
자치분권과 ☎ 02-2680-2144

✅ 모바일 주민등록증 발급
모바일 주민등록증은 스마트폰으로 신분을 확인할 수 있는 서비스로, 실물과 동일한 법적 효력이 있습니다. 17세 이상 주민등록증 소지자는 동 행정복지센터에서 발급을 신청할 수 있습니다. 1분기에 시행 예정입니다.
민원토지과 ☎ 02-2680-2309

->광명시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