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선택적 함구증 (Selective Mutism) 원인,치료법알기

2025. 3. 27. 14:13건강


🧐 선택적 함구증이란?


선택적 함구증(선택적 무언증)은 특정 상황이나 사람 앞에서 말을 하지 못하는 불안 장애의 일종입니다. 보통 가정에서는 정상적으로 말하지만, 학교나 낯선 환경에서는 말을 하지 못하는 특징이 있습니다.




🔍 원인 (Causes)


선택적 함구증은 단순한 수줍음이 아니라 심리적, 환경적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한 결과입니다.

🧠 심리적 요인

• 사회 불안 장애(SAD): 대인관계에서 불안을 심하게 느끼는 경우
• 강한 완벽주의 성향: 실수를 두려워하는 성격
• 트라우마: 과거의 부정적인 경험이 영향을 미침

🏠 환경적 요인

• 과잉 보호적인 부모: 아이가 혼자 결정하고 말할 기회가 적음
• 이중 언어 환경: 가정과 외부에서 사용하는 언어가 달라 혼란을 느낌
• 강압적인 교육 방식: 아이의 의사를 존중하지 않는 환경

->선택적 함구증 바로알기




⚠️ 증상 (Symptoms)


선택적 함구증이 있는 아이들은 특정 상황에서 말을 하지 않는 것 외에도 여러 가지 특징을 보입니다.

🚫 말하기 관련 증상

• 특정 장소(학교, 학원 등)에서 말을 하지 않음
• 가족과 있을 때는 정상적으로 말함
• 손짓, 끄덕임, 글쓰기로 의사 표현

😰 정서적 증상

• 낯선 사람 앞에서 극도의 불안감
• 사회적 상황에서 얼어붙음(Freeze 반응)
• 눈을 마주치지 않거나 움츠러드는 행동

🚷 행동적 증상

• 친구들과 어울리기 어려움
• 놀이 활동에서 수동적이거나 소극적 태도
• 특정 환경에서 몸이 굳어 움직이지 않음



🏥 진단 방법 (Diagnosis)


전문적인 진단을 위해 정신 건강 전문가(소아정신과, 심리 상담사)의 평가가 필요합니다.

📋 DSM-5(정신 질환 진단 기준) 기준


✔ 특정 상황에서 지속적으로 말을 하지 않음 (최소 1개월 이상)
✔ 가정에서는 정상적으로 말하지만, 특정 환경에서만 침묵
✔ 의사소통 문제로 인해 학업, 사회생활에 지장 초래
✔ 단순한 수줍음이 아니라 심각한 불안 반응 포함

🏠 자가 진단 체크리스트


✅ 집에서는 말하지만 학교에서는 말을 하지 않는다
✅ 특정 사람(선생님, 친구, 친척) 앞에서 말하기 어려워한다
✅ 불안한 상황에서 몸이 굳거나 도망가려 한다
✅ 손짓, 표정 등으로만 의사 표현을 한다
✅ 이러한 증상이 1개월 이상 지속된다

💡 위 항목 중 3개 이상 해당된다면 전문가 상담이 필요합니다.

💊 치료 방법 (Treatment)


선택적 함구증은 조기에 치료할수록 효과가 좋습니다.

🧑‍⚕️ 치료법


🔹 인지행동 치료(CBT): 불안을 조절하는 방법을 배움
🔹 점진적 노출 치료: 말을 해야 하는 환경에 천천히 적응
🔹 사회기술훈련(SST): 친구들과의 상호작용 연습
🔹 부모 교육: 강압적인 말하기 요구를 피하고 긍정적 강화 사용
🔹 언어치료: 의사소통 능력을 향상시키는 연습

💊 약물 치료 (필요할 경우)


심한 불안이 동반될 경우, 항불안제(SRRI 계열) 처방을 받을 수도 있음.



🛡 예방법 (Prevention)


선택적 함구증을 예방하려면 아이가 편안하게 말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 강요하지 않기: “왜 말 안 해?“라는 압박 금지
✔ 기다려주기: 아이가 스스로 말할 수 있도록 여유를 줌
✔ 작은 성공 경험 제공: 적은 인원 앞에서 말하는 연습부터 시작
✔ 칭찬과 격려: 말하려는 시도를 긍정적으로 강화
✔ 사회적 경험 늘리기: 다양한 환경에서 친구들과 어울릴 기회 제공



✅ 마무리


선택적 함구증은 단순한 수줍음이 아니라 심리적 불안이 원인인 경우가 많습니다. 하지만 조기 발견하고 적절한 치료와 환경을 제공하면 극복할 수 있습니다.

💡 아이에게 가장 중요한 것은 “말할 수 있는 안전한 환경”을 만들어 주는 것입니다. 💖

->선택적함구증 바로알기

-> 선택적함구증 오은영박사이야기